본문 바로가기
오류 찾기/하루 두쪽방 이야기

딸이 독서 메모를 시작했어.

by 오류정 2021. 6. 24.
반응형

‘딸이 독서 메모를 시작했어.’ 주영이가 단체 카톡방에 글을 올렸다.
‘기특해. 누굴 닮아서 이렇게 기특한 딸이 태어났을꼬.’ 합작이 거든다.
‘부럽다. 우리 아들도 좀 나를 따라 해 줬으면.’ 지애가 질투한다.

매일 밤 일하고 돌아온 엄마가 잠들기 전에 꼭 하는 일을 어느 날 딸이 목격했다. 힐끗 보니 노트에다가 정성껏 뭘 쓰는 것처럼 보였다. 뭘 쓰는 거지 하며 궁금해졌을 것이다. 잠잘 시간도 모자란다고 평소 불평하던 엄마가 사뭇 진지하게 하는 모습에 딸은 의아했을지 모른다. 저걸 왜 할까 딸은 혼자 생각했을 것이다. 그러다 끝내 궁금함을 참지 못하고 엄마 노트를 훔쳐봤을 것이다. 노트를 본 딸은 그냥 책 내용을 옮겨 적은 거네 하고 확인한 뒤, 생각했을 것이다. 아니 눈으로 책을 읽으면 되지 이걸 왜 또 적는 거야. 엄마는 왜 쓸데없는 걸 하는 걸까 하면서. 혼자 생각했는데 도무지 답을 못 찾다가 결국 어제 엄마 옆에서 앉아서 엄마를 따라 했던 것이다.

 

나란히 올라온 두 장의 노트 사진을 보니 뿌듯했다. 엄마 주영의 글씨는 힘 있고 딸의 글씨는 단단해 보였다. 엄마의 힘과 단단함이 그대로 딸에게 대물림된 것이라 생각한다.

하루 두줄 메모 습관반 4기를 시작한 지 겨우 보름이 지났다. 하루 두줄 메모 습관반은 하루에 두 줄씩 손글씨로 메모하고 인증하는 온라인 프로그램이다. 3기까지는 디지털 타이핑 인증도 인정해줬는데, 4기부터는 바꿨다. 손글씨만 인정하는 걸로. 바꾸길 잘했다. <최고의 변화는 어디서 시작되는가> 책에서 영감을 얻어 조금 어렵게 변화를 준 것뿐이다.

손글씨는 키보드로 타이핑할 때보다 시간이 두 배 더 든다. 대신 두 배 더 애정이 생긴다. 한 글자 한 글자 꾹꾹 노트에 옮겨 적으면서 정성이 들어간다. 애정과 정성이 들어가면 애틋해진다. 애틋해지면 더 보고 싶어 진다. 어린 왕자에게 꽃이 소중해진 이유와 같다.

<책벌레와 메모광>에서 정민 교수는 말한다.

책은 눈으로 볼 때와 손으로 쓸 때가 확연히 다르다.
손으로 또박또박 베껴 쓰면 또박또박 내 것이 된다.
눈으로 대충대충 스쳐 보는 것은 말달리며 하는 꽃구경일 뿐이다. 
베껴 쓰면 쓰는 동안에 생각이 일어난다.
덮어놓고 베껴 쓰지 않고 베껴 쓸 만한 가치가 있는가를 먼저 저울질해야 하니 이 과정이 또 중요하다.
베껴 쓰기는 기억의 창고에 좀 더 확실하게 각인시키기 위한 위력적인 방법이다.
또 베껴 쓴 증거물이 남아 끊임없이 그때의 시간으로 되돌아가게 해주는 각성 효과가 있다.
초서의 위력은 실로 막강하다.



변화는 또 다른 변화를 불러온다. 주영의 변화가 다른 사람의 변화를 불러올 것이라 생각한다. 서로가 서로의 자극제가 되고 동기 부여가 되고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모임. 앞으로 더 좋은 모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