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00를 하게 해주시옵소서’, ‘00을 들어주시옵소서’.
기도를 하는 이유는 무언가를 얻기 위함이다. 바라기만 해서는 아무 것도 얻을 수 없다. 얻고 싶은게 있으면 행동해야 한다. 기도만 하고 행동을 하지 않으니 얻지 못하는 게 당연하다.
기도 앞에 ‘간절한’ 이라는 단어를 추가해보자. 간절한 기도는 기도보다는 훨씬 성공 확률이 높다. 간절함이 더해지니 마치 행동을 할 것 같은 느낌마저 든다. 하지만 여기서도 행동하지 않으면 얻을 수 있는 건 하나도 없다.
기도는 ‘말’이다. 행동은 ‘행위’다. 무언가를 얻기 위해서는 말보다 행동을 해야한다. 행동하지 않고선 답을 얻을 수 없다.
기도의 본질은 기도를 함으로 내 안에 용기가 생겨 행동하게끔 하는 데 있다. 말뿐인 기도는, 행동없는 기도는 백날 해봐야 아무 소용이 없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