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류 찾기/글쓰기

자랑이 어려운 이유

by 오류정 2023. 7. 9.
반응형

자랑이 어렵다. 자랑은 힘들다고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많다. 나도 그렇다. ‘자랑’이라 하면 왠지 모르지만 부정적인 느낌이 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소셜 미디어에서 사람들이 아무렇지 않게 자랑하는 걸 보면 마냥 부럽기만 하다. 내가 쓴 글에 링크를 올리는 건 괜찮은데 왜 유독 나의 성과에 대해 ‘자랑’하는 건 어렵다. 왜 그럴까? 왜 ‘자랑’은 부정적인 것으로 무의식에 새겨졌을까?

자랑은 두려운 일이 맞다. 대중이라는 불특정 다수 앞에 서는 일이기 때문이다. 나뿐만 어렵다고 이야기하는 게 아니다. 연구 결과도 있다. 2012년 연구 Kangas Dwyer, Karen. “Is Public Speaking Really More Feared Than Death?” Communication Research Reports 29, no.2 (April 2012): 99-107)에 따르면 사람들은 연설을 죽음보다도 두려워한다고 한다. (https://www.tandfonline.com/doi/abs/10.1080/08824096.2012.667772)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랑은 삶에서 반드시 익혀야 하는 기술이다. 세계적인 운동가로 ‘포르노가 아닌 사랑을’을 만든 강연자 신디 **갤럽은 자랑은 “자기 자신의 공로를 인정하는 행위”이자 “메가폰을 꺼내드는 행동”**이라 말한다. 자기 일을 광고하는 일은 **“스스로의 진가를 발휘하는 행위”**이며 살아남기 위해서 꼭 필요하다는 말이다. 나를 포함해 많은 사람은 자신이 목표를 성취했다는 사실을 종종 잊고 산다. 자신의 성과는 간과하기 쉽기 때문이다.

메러디스 파인먼은 <<자랑의 기술>>에서 ‘자랑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긍정적 인식’으로 바꿔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파인먼은 10년간 사람들을 코칭하면서 시간을 내서 자랑하지 않아 커리어에 흠집이 난 사람, 손들고 나서지 않아서 큰 프로젝트를 놓치는 클라이언트, 친구, 지인을 정말 많이 봤다고 한다. 강연만 하면 앞길이 창창할 텐데 긴장된다며 기회를 포기하는 전도 유망한 친구들, 실력이 부족하다거나 카메라 앞에 서는 게 불편하다며 TV 출연 기회를 고사하는 대가들을 보면서 화가 났다고 한다.

자랑은 도전보다 회피가 더 쉬운 시스템이다. 당신은 대단한 사람이고, 그 사실을 모두에게 알리고 싶지만 자기 이야기를 하면 사람들이 “기분 나쁘다” “자기밖에 모른다”라고 생각할까 봐 무서울 것이다. 이건 당신이 만들어낸 착각이다. 사람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자기 자신에 대해, 자기 인생과 업적에 대해 분명하게 얘기하는 걸 겁내지 않으면 말하는 사람 기분만 좋은 게 아니라 듣는 사람에게도 긍정적인 인상이 오래간다.

’패션계의 대모’ 뉴욕 패션위크의 창시자, 컨설턴트, 행사 주관자, <<패션 라이브스>>의 저자인 펀 말리스는 멋지게 그 비결을 표현했다. “자신의 경적은 스스로 울려라. 경적을 대신 울려줄 사람이 항상 옆에 있는 건 아니다.” 자신을 위해 스스로 싸우지 않는다면 당신의 일은 인정받지 못한다. 본인 말도 또 누가 당신 일을 위해 싸우겠는가?

자랑도 다른 기술을 배울 때처럼 자랑하기도 끊임없이 연습해야 한다. 자신이 이룬 것에 자부심을 느끼고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자랑을 잘한다’는 건 ‘자기 과시’와는 다르다. 자랑을 잘한다는 말은, 자기 일에 자부심을 주위에 표현한다는 뜻이다. 그러니 이제부터 자신이 이룬 성과에 대해 당당하게 ‘자랑’할 수 있는 사람이 되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