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류 찾기/글쓰기

100일 글쓰기가 알려주는 것

by 오류정 2023. 1. 7.
반응형

양복을 입은 한 남성이 계단을 천천히 오른다. 계단 오르기가 힘든 것일까. 몸을 휘청거리더니 남성이 계단 옆으로 떨어진다. 다행히 바닥은 트램펄린이다. 그는 반동을 이용해 다시 계단 위로 튀어 오른다. 남자는 계단 정상을 향해 춤을 추듯 오르고, 내리면서 트램펄린이 있는 바닥으로 떨어지고, 다시 뛰어오르기를 반복한다. 목표를 향해 가지만 도달하기 쉽지 않은 우리 인생 같다. 남자가 마침내 정상에 이르렀을 때, 숨죽여 그를 보던 관객들이 박수를 보낸다.

1분 30초짜리 이 공연 영상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공유되며 국내외에서 화제다. 프랑스의 행위예술가 요안 부르주아의 공연이다. 영상에 붙은 제목은 ‘성공은 직선이 아니다(Success isn’t linear)‘이다. 성공을 향한 과정이 녹록지 않음을, 늘 앞으로만 우리가 전진할 수 없고 때론 인생의 바닥으로 떨어지기도 한다는 내용을 전달한다.

100일 글쓰기도 이와 다르지 않다. 100일은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기간이다. 100일 글쓰기에 도전하는 이들은 누구나 자신이 완주할 것을 확신한다. 하지만 시간이 조금씩 지나면 하나 둘 확신에 찼던 이들이 가장 먼저 이탈을 시작한다. 참가자들 중 완주를 한 이들은 전체 인원의 10퍼센트도 채 되지 않는다.

요안 부르주아가 공연을 통해 보여주듯, 100일 글쓰기의 과정도 직선이 아니다. 쉽다는 혹은 직선일 것이라는 착각을 멈추고 고통스러움을 감내할 준비가 된 사람이 완주의 기쁨을 맛볼 수 있다. 완주라는 정상은 고통을 마지막까지 견뎌낸 사람에게 주어지는 선물이다. 매일 작지만 꾸준하게 자기만의 속도로 걷는 성실한 거북이들만이 누릴 수 있는 것이다. 

https://youtube.com/shorts/NXlj0nXjrrw?feature=shar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