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99

[경제흐름] 한국 소비 시장의 변화 <맥도날드> 한국 소비시장이 변하고 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23&aid=0003365936&sid1=001 기사를 읽고 여러가지 의문점이 들었다. 최저 임금 인상이 맥도날드 점포 축소의 근본 원인 일까? 맥도날드를 찾는 소비자가 줄어든 것이 원인은 아닐까? 한국 소비자들에게 맥도날드의 입지는 어느 정도일까? 한국 소비시장의 패턴을 예상하지 못한 그들의 책임이 문제가 아닐까? 무작위로 점포를 과도하게 늘린 그들의 책임은 아닐까? 왜 맥도날드는 안되고 SPC 그룹의 쉐이크쉑 버거는 줄서서 먹는 패스트 푸드점이 되었을까? 함께 고민해볼 문제라고 생각한다. 2018. 4. 17.
[경제흐름] 콘텐츠의 진화, 미디어를 초월한 미디어의 등장 미디어를 초월한 미디어의 등장, 트랜스 미디어 원작 콘텐츠를 활용해 2차, 3차의 새로운 콘텐츠 개발을 의미한다.대표적인 사례 Marble 시리즈 대한민국 웹툰이 트랜스 미디어로 탈바꿈해 세계 시장에 나갈 날이 멀지 않았다.우리는 특별하다. http://news.webdaily.co.kr/view.php?ud=201711291703428236104cae764_7 2018. 4. 17.
[경제용어] 플립러닝이란? [경제&경영] 플립러닝 (flipped learning) 온라인을 통한 선행학습 뒤 오프라인 강의를 통해 교수와 토론식 강의를 진행하는 "역진행 수업 방식" 을 말함. 기존 전통적인 수업 방식과는 정반대로, 수업에 앞서 학생들이 교수가 제공한 강연 영상을 미리 학습하고, 강의실에서는 토론이나 과제 풀이를 진행하는 형태의 수업 방식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카이스트(KAIST), 울산과학기술원(UNIST), 서울대가 이 방식을 도입해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플립러닝을 도입한 미국 캘리포니아 소재 일부 대학의 경우 강연은 하버드대학이나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교수 수업으로 대체하고 담당 교수는 보조적인 역할만 하는 형태로 운영되는 경우까지 발생하기도 해 교육계에 기회이자 위협이라는 평가도 받고 있다. 2018. 4. 16.
[경제흐름] 제주도 우도 중국 전기버스 운행 시작 중국 전기 버스가 제주도 우도에 상륙했다. 어라? 우리나라 현대.기아 자동차의 전기버스가 아니네. 현대.기아 자동차는 그동안 뭐 했을까? 지난 9년간 무능 했던 정부가 대기업들과 함께 불법 비자금 조성, 불법 탈세, 불법 증여등에만 관심을 갖은 탓이다. 이렇게 빨리 세상이 변할 줄 그들은 생각조차 해본 적이 없었을 것이다. 기업의 총수가 공부를 하지 않은 탓에 그들의 생각을 언제 멈추게 된 것일까? 말로는 일류 기업을 외치는 우리나라 대기업들의 미래가 심히 걱정된다. 평생 끌려만 다닐 것인가? 아니면 리드할 것인가? 현재 그들의 관심사는 무엇일까? 정말 궁금해진다. http://mn.kbs.co.kr/news/view.do?ncd=3635105 2018. 4. 16.
반응형